예적금 계산기,예금 적금 금리계산기,은행 예금 적금 이자율 계산기
은행에 예금이나 적금 가입시 금리 비교와 이자율 계산은 필수인데요.예적금 계산기라고 누구나 쉽게 예금 적금 금리를 계산할 수 있으며 예금 적금 이자율 계산까지 한번에 할 수 있는데요.자유 적금 경우 계산하기 복잡해서 예적금 계산기 이용하면 틀릴 수 있지만 예금 경우 일반,비과세,세금우대까지 예적금 계산기를 이용하면 한눈에 조회가 가능합니다.
예적금 계산기,예금 적금 금리 계산기 사용방법은?
다음에서 http://search.daum.net/search?nil_suggest=btn&w=tot&DA=SBCO&q=%EC%9D%B4%EC%9E%90%EC%9C%A8%EA%B3%84%EC%82%B0%EA%B8%B0 에 들어가면 확인할 수 있으며 예적금 계산기,금리 계산기,이자율 계산기 이렇게 검색하셔도 나옵니다.예금 적금 은행에서 신청할때 나중에 얼마 받을 수 있는지 알려주기도 하지만 간단하게 이런 예적금 계산기나 은행 예금 적금 이자율 계산기로도 확인할 수 있어서 좋네요.
예금 적금 금리계산기,은행 예금 적금 이자율 계산기 '예금 3천만원'
예적금 계산기로 3천만원을 한번 해보겠습니다. 예금으로 했을 경우 기본적으로 예금은 12개월입니다. 요즘 금리가 2.5~3.0정도 되는데 저는 얼마전 2.82%로 들었습니다. 예전과 비교하면 금리가 너무 낮아져서 예금해도 이자가 얼마나 되지 않네요.
여기서 잠깐 단리와 월복리 차이를 알아야겠죠.
복리 경우
첫째달 원금+이자
둘째달 (원금+이자)+이자
셋째달 ((원금+이자)+이자)+이자
이렇게 둘째달부터 원금+이자 전체에 다시 이자가 붙는 형식입니다.
단리는 이와 반대로
첫째달 원금+이자
둘째달 원금+이자
셋째달 원금+이자
예적금 계산기 결과 왜 이렇게 다른거야?
예적금 계산기 결과보니 일반,비과세,세금우대 이렇게 되어있는데 금액의 차이가 있네요...하시는분들은 간단하게 얘기하자면 은행에 돈을 넣으면 이자가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15.4% 이자소득세를 내게 되는데 세금우대 경우 이자소득의 9.5%내게 되고 비과세는 3천만원까지 농,수협,단위조합,신협,새마을금고 등 조합원이나 회원인 경우 비과세 혜택을 받아 농특세 1.4%의 이자소득세만 내면 됩니다.
그러니 3천만원까지는 수협이나,농협 이런데서 예금을 들면 15.4% 나가야하는데 1.4%밖에 떼지를 않는것이죠.
예적금 계산기 결과 일반은 1년동안 예금시 71만640원밖에 받지를 못하지만 비과세 경우 84만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그런데 다음 예적금 계산기 뭐가 이상한데요.비과세와 세금우대 결과가 바뀌었네요.
네이버 예적금 계산기로 해보니...
다음 예적금 계산기 결과가 이상해서 네이버 예적금 계산기 이용해봤는데요.이 수치가 맞는 결과입니다.
일반 15.4%
세금우대 9.5%
비과세 1.4%
여기서 잠깐 예금 적금 차이는 뭘까요?
이걸 아직 구분 못하는분들이 계셔서 간단하게 설명해드릴께요.예금의 '예'자는 맡긴다는 뜻이고 적금의 '적'자는 쌓는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는데요.즉 예금은 한번에 돈을 맡기고 나중에 만기되었을때 찾는것이고 적금은 매달 일정금액을 넣는것을 말하는데요.
어떤게 더 좋냐? 라면 목돈인 경우에는 아무래도 예금이 좋습니다. 이자가 1.5배 정도 차이가 날 수 있거든요.
1200만원을 연 3%의 이자로 예금을 맡길경우 이자는 = 1200 x 0.03 =360000원이 되지만 100만원씩 불입하는 1년 정기적금을 가입하게 된후 만기시에 받을 수 있는 이자는 100 x 0.03 x 6.5 = 195000원이 됩니다.
행복박스의 다른 글 더 보기